# 국가기록원은 574돌 한글날(10월 9일)을 맞이하여 한글학회에서 소장하고 있는 최초의 근대 국어 음운서인「말의 소리」복원에 성공했다.
#「말의 소리」는 일제강점기 시대 한글연구와 보급을 통해 민족 의식을 고취시킨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(1876~1914)의 마지막 저서로 1914년 발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국어 음운서(音韻書)다
#「말의 소리」의 가장 큰 특징은 본문이 모두 순한글로 작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.
-> 책은 표지를 포함하여 총 72매로 본문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록을 제외한 전체 내용이 순한글로 되어 있으며.
-> 본문은 음의 성질, 자음‧모음의 분류와 배열, 자음접변, 자음‧모음의 결합, 음절 등으로 구성되어 각 항목마다 풀이와 보기, 참고사항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.
-> 부록에는 「훈민정음」과 「용비어천가」 서문 등과 가로쓰기 예문 등이 담겨있다.
-> 또한, 책 표지의 위쪽과 아래쪽에서 파란색 비단으로 감싼 포각(包角)의 흔적이 발견되어 네 개의 침안(針眼; 제책 과정에서 실을 꿰매는 자리)으로 책을 제본하는 기법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.
# 신청 당시 「말의 소리」는 100년 이상 시간의 경과와 열악한 보존환경으로 인해 훼손이 심한 상태였다.
#이에 국가기록원은 복원처리 과정에서 습식세척 방법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보존성이 우수한 한지를 사용하여 찢어진 부위 접합과 결실부를 보강하고, 포각(包角)의 훼손된 비단은 원본과 동일한 색과 두께의 비단으로 보수하여 보존성을 향상시켰다.
# 아울러,전시에 활용하기 위한 용도의 복제본을 따로 제작하였다.
–> 한글학회 권재일 회장은 “주시경 선생이 우리말을 연구한 소중한 문헌을 안전하게 복원하여 온 국민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지원해준 국가기록원의 정성에 감사하다.” 며 “주시경 선생의 뜻을 잘 이어받아 한글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.”고 말했다.
–> 국가기록원 이소연 원장은 “한글창제 574돌 한글날을 맞아, 일제강점기 한글을 지켜온 선열의 정신이 담긴 기록물을 후대에 안전하게 전승할 수 있도록 복원하여 기쁘다. ”라고 밝혔다.
출처 : 정책브리핑